[수험서]
Q :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빨간색 밑줄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A : 오피스 프로그램의 띄어쓰기나 오타를 잡아주는 기능으로 꼭 오타가 아니더라도 이름, 외래어, 고유명사 등에는 빨간색 밑줄이 생길 수 있습니다. 만약 문제지와 똑같이 입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빨간색 밑줄이 나온다면 이 부분은 무시하고 넘어가도록 합니다.
Q : [제1작업]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 주의할 부분은 무엇인가요?
A : [제1작업] 시트에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[제2작업], [제3작업], [제4작업] 시트가 작성됩니다.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[제1작업]에 오탈자가 없는지 <출력 형태>와 비교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Q : [제1작업]의 셀 간격은 채점 대상인가요?
A : 지시사항에 나와있는 A열을 제외한 나머지 셀 간격은 채점 대상이 아닙니다. 그러나, 셀이 너무 좁으면 데이터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<출력 형태>를 참고하여 셀의 간격(높이, 너비)을 적당하게 조절하시기 바랍니다.(A열은 너비를 1로 지정해야 합니다.)
Q : [제1작업]에서 결재란을 그림으로 붙여넣기한 후 크기를 조절하면 결재란이 깨져서 보이는데 괜찮은 건가요?
A : 결재란을 그림으로 붙여넣은 후 작업 환경에 맞추어 크기를 조절하여도 감점되지 않습니다.
Q : [제1작업]에서 셀 서식을 적용한 후 숫자 서식과 회계 서식은 어떻게 구분하나요?
A : 숫자 데이터의 정렬은 <출력 형태>를 참고하여 작업합니다. 숫자 데이터의 경우 오른쪽 정렬 또는 회계 서식을 이용하여 오른쪽으로 정렬하여도 채점 기준과는 무관합니다.(단, 지시된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조건에 맞춰 작업하도록 합니다.)
*TIP : [제1작업] 데이터의 셀 서식을 지정할 때 [4작업] <출력 형태>를 미리 확인한 후 아래와 같이 작업하면 차트를 편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- 차트의 <출력 형태>를 확인한 후 축의 최소값이 '0'이면 [제1작업]의 해당 셀을 숫자 서식으로 정렬합니다.
- 차트의 <출력 형태>를 확인한 후 축의 최소값이 '-'이면 [제1작업]의 해당 셀을 회계 서식으로 정렬합니다.
Q : [제1작업]에서 조건부 서식(막대 데이터)은 그라데이션/단색 중 어떤 것으로 지정해야 하나요?
A : 데이터 막대를 이용하여 조건부 서식을 지정할 때 막대의 기본 색상(기본 : 녹색, 빨강 등) 외에 별도의 <조건>이 없을 경우에는 '그라데이션 채우기' 및 '단색 채우기'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. 단, 최소값과 최대값의 종류를 '자동'이 아닌 '최소값-최소값, 최대값-최대값'으로 지정해야 합니다.
Q : [제1작업]에서 함수를 이용하여 값을 채운 후 정렬과 셀 서식은 어떻게 정하는 건가요?
A : 함수 문제는 정렬 및 셀 서식을 채점하지 않습니다. 단, 문제지에 "예시"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지시된 형태와 같이 작성해야 합니다.
Q : [제4작업]에서 차트에 삽입되는 도형은 글꼴을 바꿔야 하나요?
A : 차트에 삽입되는 도형 안쪽의 글꼴 서체 및 크기, 도형의 테두리, 도형의 테두리 색상은 채점 대상이 아닙니다. <조건>과 똑같은 도형을 넣은 후 도형의 색상 및 도형 안쪽의 글꼴 색상을 <출력 형태>와 같이 작업하도록 합니다.
Q : [제3작업]에서 피벗테이블을 작성했을 때 조건과 똑같이 작업했으나 <출력 형태>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
A : 이 문제는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면 해결될 부분입니다.
※ 상기 내용은 주관사(KPC) 시험 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